티스토리 뷰

강아지 심장사상충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기생충 질환으로 심장과 폐동맥에 기생하여 심각한 심혈관 문제를 유발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기침, 피로, 호흡 곤란 등이 점차 나타납니다. 치료는 성충 제거와 함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예방약 투여와 모기 방지가 필수적입니다.

1. 심장사상충의 원인 및 전파 경로

  •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기생충.
  • 감염 과정: 감염된 모기가 강아지를 물 때 유충(L3)이 혈류로 들어가며 감염 시작.
  • 성충 성장: 약 6개월 후 심장과 폐동맥에 기생.
  • 전 세계 분포: 특히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감염률 높음.

2. 심장사상충의 증상

  • 초기 증상
    • 경미한 기침
    • 활동량 감소
    • 운동 후 피로
  • 중기 증상
    • 지속적인 기침
    • 호흡 곤란
    • 체중 감소 및 근육 소실
    • 복부 팽창 (복수로 인한 부종)
  • 말기 증상
    • 급성 심부전
    • 청색증 (입술과 혀의 푸른 변색)
    • 기절 및 의식 상실
    • 혈뇨 (간부전 또는 신부전 관련)

3. 심장사상충의 진단 방법

  • 항원 검사: 혈액 내 심장사상충 성충에서 분비되는 항원 탐지.
  • 미세사상충 검사: 혈액 내 미세사상충 직접 확인.
  • 추가 검사
    • 흉부 방사선 촬영: 폐동맥 비대와 심장 비대 확인.
    • 심장 초음파: 성충의 존재와 위치 직접 관찰.

4. 심장사상충의 치료 방법

  • 성충 제거: 멜라르소민(Melarsomine dihydrochloride) 주사.
    • 허리 근육에 2~3회 투여.
    • 치료 후 활동 제한 필요.
  • 미세사상충 제거: 아이버멕틴(Ivermectin) 또는 밀베마이신(Milbemycin oxime) 사용.
  • 지지 치료
    • 심장 및 폐 기능 지원.
    • 이뇨제, 혈관확장제, ACE 억제제 등 사용.
  • 수술적 치료: 심각한 폐색전증이나 심부전 시 성충 직접 제거.

5. 심장사상충의 예방

  • 예방약 종류
    • 구강용 예방약: 이버멕틴, 밀베마이신 등 매달 1회 복용.
    • 국소용 예방약: 셀라멕틴, 모시덱틴 등 매달 1회 도포.
    • 주사형 예방약: 모시덱틴, 6개월~1년 간격으로 투여.
  • 정기적인 혈액 검사: 예방약 사용에도 불구하고 매년 검사 필요.
  • 모기 방지: 모기 퇴치제 사용, 모기장 설치 등으로 모기 접근 차단.

결론

  • 예방의 중요성: 심장사상충은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
  • 정기적 관리 필요: 예방약 투여, 모기 방지, 정기 검진 필수.
  • 조기 진단 및 치료: 감염 시 조기 발견과 치료가 반려견 생명 지키는 열쇠.
  • 철저한 예방과 관리로 반려견의 건강을 보호.